전체 글 (87)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부트 JPA 개념잡기 JPA란 무엇인가? +JPA의 장점에 대해서 1. JPA는 Java Persistence API 이다. Persistence(영속성)이란 데이터를 생성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더라도 사라지지 않는 데이터의 특성을 말한다. RAM은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컴퓨터가 꺼지거나 정전이 되면 데이터는 전부 사라지게 된다. 데이터가 날라가지 않도록 RAM의 소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인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게 되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영속성이라는 것, 어떤 데이터가 영구히 기록되게 하는 것이다. 자바에서는 데이터 저장을 파일시스템이나 하드디스크가 아닌 DBMS인 데이터베이스에서 한다. JPA에서 Java Persistence API라는 것은 자바의 데이터를 영구히 기록할 수 있는 환경을.. web.xml과 FrontController 패턴 web.xml이 하는 일 servlet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 생성 session의 유효시간 설정 servlet/jsp에 대한 정의 servlet/jsp 매핑 Mime type 매핑 welcome file list error pages 처리 리스너/필터 설정 보안 (1)servlet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 생성 엄청나게 큰 성이 하나 있는데, 이 성에는 입구가 있고 입구에는 문지기가 한 명 있다. 문지기는 스스로 일을 할 수 없어 관리자는 문지기에게 문서를 던져 일을 시킨다. 그 문서대로 문지기를 일을 하게 되는데 이 문서가 web.xml 파일이다. 첫번째로 하는 일은 servlet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외부에 사람이 들어올 때 문지기는 그 사람에게 암호는 ***라고.. 스프링부트의 동작 원리 1. 스프링은 내장 톰켓을 가진다. 톰켓을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실행가능하다. -소켓과 http 소켓(socket):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A라는 대상과 B라는 대상이 서로 메세지를 교환하고 싶을 때 운영체제가 제공해주는 소켓을 이용하게 된다. 처음에 A가 소켓을 연다(open) 오픈한 소켓의 포트번호가 필요한데, B가 A와 통신하고 싶다면 A의 IP주소를 넣으면 연결이 되고, A와 B는 서로 메세지를 주고 받는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대상인 C가 A와 통신하고 싶다면 B는 이미 소켓이 연결 되어있는 상태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서 최초에 연결용도로만 쓰는 포트를 만들고, 연결되는 순간 다른 포트를 만들며, 새로운 소켓을 만들 때는 새로운 스레드를 만든다. 최초에 연결..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9 다음